금융용어 정리 1.소득세, 소득공제, 과세표준, 산출세액, 세액공제, 결정세액 뜻
[목차]
- 소득세 / 소득공제 / 과세표준 / 산출세액 / 세액공제 / 결정세액 뜻
- 소득공제 받는 법?
- 세액공제 받는 법?
소득세 / 소득공제 / 과세표준 / 산출세액 / 세액공제 / 결정세액 뜻
소득세란, 국가에 지불해야 하는 나의 소득에 대한 세금을 의미합니다.
직장인들의 소득은 회사에서 주는 월급이고, 월급을 지금부터 급여액이라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저희같은 직장인들은 급여액에 대한 세금을 소득세로 내야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소득만 하고 사는 것은 아니죠! 소득과 소비를 같이 하면서 살아갑니다. 따라서 실제 저희가 얻는 "실제 소득액"은 더 적습니다. 따라서 나라에서는 이 "실제 소득액"에 대해 세금을 걷습니다.
이 개념을 직장인의 상황으로 가져오겠습니다. 직장인의 소비액을 근로소득공제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직장인의 소비액은 각 개인마다 천차만별로 다르지만, 매달 월급이 나올 때마다, 일일히 국가에서 소비액을 매달 따지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국가에서는 편의를 위해서 급여액이 얼마인지에 따라 이정도는 먹고 쓰겠지~ 하면서 일정 금액을 필수 소비액으로 치고 무조건 공제 해줍니다. 이것을 근로소득공제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급여액에서 근로소득공제금액을 뺀 금액을 실제 근로소득액입니다.
실제 근로소득액이 높을수록 내야하는 세금은 많아지겠죠? 그래서 국가에서는 실제 소득액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해서, 국민들의 세금 부담을 덜어주는데, 이것을 소득공제라고 합니다. 실제 소득액에서 소득공제를 받고 난 금액을 과세표준이라고 하며, 바로 이것을 기준으로 세금 부과를 하게 되는 것이죠.
과세표준에 정해진 소득세율을 곱하면 산출세액의 금액이 나오는데, 이것이 우리가 내야하는 세금의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소득세율은 개인의 소득액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1년에 얼마나 버느냐에 따라 차등해서 적용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국가에서는 산출세액에서 한 번 더 공제를 해주어서 국민들의 세금 부담을 덜어줍니다. 즉, 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를 해주는 것이죠. 그리고 이렇게 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까지 빼 준 다음의 금액을 결정세액이라고 하는데, 이 결정세액의 금액이 최종적으로 우리가 납부해야 하는 세금의 금액입니다.
추가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가 헷갈리시는 분들을 위해 한 번 더 정리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는 둘다 공제를 해줘서 세금의 부담을 줄여주는 면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소득공제는 실제소득액에서 공제를 해주는 것이고, 세액공제는 산출세액에서 공제를 해준다는 점에서, 공제의 대상에 차이가 있습니다.
소득공제 받는 법?
소득공제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봅시다. 소득공제는 위에서 설명했던 것 처럼, 소득액을 줄여주는 것으로, 소득액을 줄여주었기 때문에, 세금을 낼 때 원래의 소득에 따른 금액보다 더 적게 세금을 내도 되는 혜택을 받을 수 있음에 의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소득공제는 어떤 방식으로 금액이 정해지는 것일까요?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조건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예시를 들자면 부양가족 수/ 신용카드 사용/ 청약저축/ 전세대출 갚은 돈/ 주택자금/ 기부금/ 투자조합 출자 등이 있습니다. 이것들 말고도 다양한 조건들이 있으니, 개인이 직접 찾아서 본인 조건에 맞는 것을 찾아야 합니다.
소득공제 조건이 만족한다 하더라도, 상세하게 알아보셔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신용카드 사용으로 인한 소득공제는, 본인 연봉의 25퍼센트 이상의 금액부터 국가에서 정해준 상한선까지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신용카드를 많이 쓴다고 더 많이 공제 받는게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세액공제 받는 법?
그렇다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세액공제를 해주는 조건에는, 자녀 수/ 연금저축 액수/ 보장성 보험의 액수/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이 있습니다. 부합되는 조건이 많을수록 공제 금액도 크기 때문에, 소득공제와 같이 세액공제 또한 개인이 스스로 찾아보고 혜택을 받아야 합니다.
마무리
오늘은 소득세, 소득공제, 과세표준, 산출세액, 세액공제, 결정세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원천징수와 연말정산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inance > 금융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드 이름 읽는 법, 펀드 알파벳 (펀드 클래스) 의미 (0) | 2022.02.07 |
---|---|
금융용어 정리 4. 펀드 기초 (뜻, 종류, 장/단점, 기준가, 좌수) (0) | 2022.02.05 |
금융용어 정리 3. 증권사, 자산운용사, 자문사, 일임사 뜻 & 하는 일 (0) | 2022.01.26 |
금융용어 정리 2.원천징수, 연말정산 뜻 & 연말정산 하는 법 (2) | 2022.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