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 정리 4. 펀드 기초 (뜻, 종류, 장/단점, 기준가, 좌수)
[목차]
- 펀드 뜻
- 펀드 종류
- 펀드 장/단점
- 펀드 용어 (좌수/기준가)
펀드 뜻
펀드는 사전적 정의로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 돈이 모인 것을 의미하고, 보통 우리가 말하는 펀드는 간접투자상품을 의미합니다.
혼자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어느 곳에 얼마만큼 투자를 해야하는지 결정하기도 쉽지 않고, 돈을 잃을 위험도 큽니다. 따라서 금융기관에서 펀드를 만들고, 이 펀드에다가 많은 사람들의 돈을 모은 다음, 모인 돈을 투자 전문가인 "펀드 매니저"가 주식, 채권, 금, 해외 주식등 다양한 곳에 투자를 합니다. 이러한 투자를 통해서 수익이 나면, 펀드에 들어간 돈을 낸 사람들에게 각자의 투자 금액 만큼 비율을 따져 수익을 나누어 주는데, 이 수익금을 "배당금"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펀드 매니저에겐 수수료가 주어집니다.
추가로, 펀드는 자산운용사에서 만들고, 이러한 펀드를 은행과 증권사에서 구매가능합니다.
증권사, 자산운용사와 같은 금융투자회사들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하단 링크를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펀드 종류
펀드는 어떤 상품에 투자하는지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다.
주식형 펀드 : 주식에 60% 이상 투자
주식혼합형 펀드 : 주식 50-60% + 채권 40-50% 투자
혼합형 펀드 : 주식 + 채권 골고루 투자
채권혼합형 펀드 : 채권 50-60% + 주식 40-50% 투자
채권형 펀드 : 채권 60% 이상 투자
MMF : 현금성 자산에만 투자
국내 펀드 : 한국 상품에만 투자
해외 펀드 : 해외 상품에만 투자 (역내 펀드 + 역외 펀드)
역내 펀드 : 국내법에 의해 설립되어, 국내 자산운용사에서 해외 상품에만 투자
역외 펀드 : 현지법에 의해 설립되어, 해외 자산운용사에서 해외 상품에만 투자
펀드를 투자금 내는 방식에 따라 분류할 수도 있습니다.
적립식 펀드 : 투자금을 쪼개서 나눠 내는 것으로, 적금같은 개념
거치식 펀드 : 투자금을 한번에 내는 것으로, 예금같은 개념
펀드의 장 / 단점
다음으로, 펀드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펀드의 장점
1. 내가 스스로 투자를 위한 분석을 하지 않아도, 전문가가 대신 투자를 해준다. 투자 초보자가 접근하기 쉽다.
2. 한 회사의 주식을 10%이상 담지 못하고, 여러개의 투자 자산에 분산 투자하기 때문에, 비교적 손실이 적고 안전한 투자가 가능하다.
3. 만기 조절이 쉬워 내게 맞는 투자 스케쥴짜기가 가능하다.
4. 적립식 펀드를 이용하면, 장기투자로서 적합하다.
펀드의 단점
1. 간접투자이기 때문에, 수수료와 보수 등 추가적인 금액이 든다. (보통 주식형 펀드의 경우 평균 1-2%의 보수가 존재한다.)
2. 새로운 트랜드에 밀려 내가 소지한 펀드가 약해질 수 있다. (다른 펀드들과 방향을 달리한다거나, 설정액이 50억 이하로 내려간 경우 조심해야 한다.)
3. 필요할 때 바로 돈으로 현금화하는데, 시간이 꽤 소요된다. (펀드매니저가 상품을 판매하는등 현금화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4. 시장에 큰 변화가 있을 때 손실 회복이 어렵다. (펀드에 한 종목 10% 이상 담지 못하는 등 분산 투자를 해야하기 때문에, 시장에 큰 변화가 있을 때, 과감한 배팅으로 손실 회복 하기가 어렵다.)
펀드 용어 (좌수 / 기준가)
다음은 펀드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좌수 : 펀드를 세는 단위
기준가 : 펀드 1천 좌당 가격, 펀드의 현재 가치를 의미하며 매일 가격이 변화함.
마무리
오늘은 펀드의 뜻, 종류, 장/단점, 용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펀드의 클래스 분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inance > 금융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권, 유동성, 컨센서스 뜻 (0) | 2022.02.08 |
---|---|
펀드 이름 읽는 법, 펀드 알파벳 (펀드 클래스) 의미 (0) | 2022.02.07 |
금융용어 정리 3. 증권사, 자산운용사, 자문사, 일임사 뜻 & 하는 일 (0) | 2022.01.26 |
금융용어 정리 2.원천징수, 연말정산 뜻 & 연말정산 하는 법 (3) | 2022.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