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금융 상식

미국 주가 지수의 모든 것 (feat. S&P500 지수, 나스닥 지수, 다우 지수)

by '연이' 2022. 4. 8.
728x90
반응형

금융용어 정리 14. 미국 주가 지수의 모든 것 (feat. S&P500 지수, 나스닥 지수, 다우 지수)

 

 

 

 

[목차]

- 미국 증권거래소 (feat. 뉴욕 증권거래소, 나스닥)

- 미국 주가지수 (feat. S&P500 지수, 나스닥 지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다른 지수보다 밀리는 이유?

 

 

 

미국 증권거래소 (feat. 뉴욕 증권거래소, 나스닥)

 

미국 주가 지수에 대해서 설명드리기 전에, 지수의 배경이 되는 미국 증권거래소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해야 합니다.

 

 

미국에는 뉴욕 증권거래소와 나스닥, 두 개의 증권거래소가 존재합니다.

 

 

1. 뉴욕 증권거래소 (NYSE)

 

New York Stock Exchange의 약자로, 세계 시가총액 기준 1위의 증권거래소입니다. 미국의 대표 우량주들이 상장한 시장으로, 주로 제조업 운송업 무역업 등 전통적인 산업들의 기업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상장 기업 예시: 코카콜라, 맥도날드 , 3M, 나이키

 

상장 조건: 주가 최소 4$이상, 100주 이상 보유한 주주의 수 400명 이상

 

 

2. 나스닥(NASDAQ)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의 약자로, 세계 시가총액 기준 2위의 증권거래소입니다. 주로 IT, 플랫폼, 바이오 등 첨단 산업과 기술 중심의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상장 기업: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상장 조건: 상장 조건이 덜 까다로움. 성장 기업 중심으로 적자여도 가능합니다.

 

 

 

 

미국 주가지수 (feat. S&P500 지수, 나스닥 지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한국 주가지수를 설명드리기에 앞서 먼저 뉴욕 증권거래소와 나스닥을 먼저 설명드린 이유는 뉴욕 증권거래소와 나스닥 시장을 토대로 만들어진 주가이기 때문입니다. 위 두 가지 증권거래소에서 기업을 선정하여 만든 미국 대표 지수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1) S&P500 지수

 

출처: 네이버 금융 (finance.naver.com)

 

미국의 신용평가회사 S&P (Standard&Poors)에서 개발한 지수입니다. 뉴욕 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회사 중 규모, 유동성, 대표성을 고려하여 선별한 500개 기업을 선정해서 만듭니다. 뉴욕 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의 시가총액을 가중 평가해서 선정합니다. 즉 S&P500 지수에는 뉴욕 증권거래소의 코카콜라, 맥도날드뿐만 아니라, 나스닥의 애플, 구글 또한 함께 포함되어 있는 것입니다. 여러 성격의 기업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만큼, 변동성이 적긴 하지만 수익률은 나스닥에 비해서는 조금 밀리기 때문에, 안정적인 투자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이 투자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나스닥에 비해 투자 열기가 덜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투자 수요가 가장 많은 주가 지수입니다.

 

 

2) 나스닥 지수

 

출처: 네이버 금융 (finance.naver.com)

 

나스닥 상장 종목을 대표하는 대형 기술주의 지수입니다. 나스닥에 상장한 기업들을 시가총액을 가중 평균하여 선정합니다. 첨단산업과 기술주 중심이기 때문에 성장성이 커서, 장기적인 미래를 보고 적립식 투자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3)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DJIA)

 

출처: 네이버 금융 (finance.naver.com)

 

Dow Jones Industrial Average의 약자로, 1884년 발표된 아주 오랜 역사를 가진 지표입니다. 뉴욕 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 중에서 다우존스가 가장 신용하고 안정된 우량 기업 30개를 선정해서 만듭니다. 시가총액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 주가의 평균치를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다른 지수보다 밀리는 이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0년 전에는 미국 경제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였지만, 지금은 위 두 개의 지수보다 지표로서 밀리고 있습니다. 먼저 첫 번째 이유는, S&P 500 지수는 상위 500개의 기업을 다루는 반면, 다우존스 지수는 30개밖에 다루지 않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이유는,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둘 다 시가총액을 가중 평가하여 지수에 포함시킬 기업을 산출하는 반면, 다우존스는 시가총액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 주가의 평균치만을 고려해서 기업을 산출하기 때문입니다. 즉, 다우존스는 단순 주가 순위로 상위 30개를 산출하기 때문에, 시가총액이 아무리 커도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주식 분할을 해서 주가가 낮아지면 지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지수는 세계 시장을 전체적으로 아울러야 하는데,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처럼 한 가지 수치만을 고려해서 산정하면 상대적으로 대표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