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 정리 8. ETF 뜻, 장점, 단점, 종류
[목차]
- ETF 뜻
- ETF 장점과 단점
- ETF 종류
ETF 뜻
ETF를 네이버에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의미가 나옵니다. 사전의 의미는 정확하지만, ETF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이해가 쉽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먼저 ETF(Exchange Traded Fund)는 우리말로 상장 지수 펀드라고 하며, 주로 주가 지수나 채권가 지수 등 특정 지수를 따라서 올라가기도 내려가기도 하는 펀드입니다. 펀드이기 때문에 자산운용사에서 만들어지고, 거래소에서 거래됩니다.
ETF는 인덱스 펀드를 모태로 하여 만들졌기 때문에, 펀드와 굉장히 유사한 성격을 가지는 것과 동시에 주식의 성격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펀드의 분산투자가 가능하다는 장점과, 주식의 거래가 용이하고 보수가 싸다는 장점 모두를 가지고 있습니다.
ETF를 자세히 알기 전에, 펀드와 유사한만큼 펀드에 대해서 먼저 알고가시는게 더 이해가 잘 되기 때문에, 하단에 펀드 관련 포스팅을 먼저 보시고 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ETF 장점과 단점
ETF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분산 투자가 가능해서, 위험도가 높지 않다.
하나의 ETF안에서 투자할 종목을 고를 때, 적게는 10여개, 많게는 100개가 훌쩍 넘는 회사의 주식으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분산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정 한 회사에 악재가 발생하더라도, 주가가 상승한 다른 회사가 악재로 인한 주가 하락을 보완해주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한 투자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스스로 투자를 해야한다는 부담감이 적다.
주식 투자를 할 때, 정말 많은 회사 중에서 어떠한 회사에 투자를 해야할지 고르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기업에 대한 공부도 해야하며, 전반적인 경제 흐름을 읽을줄도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ETF는 운용사가 상품 테마에 맞춰서 종목을 고르고, 상황에 맞게 원래의 종목을 빼버리거나 새로운 종목을 추가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스스로 투자를 해야한다는 부담감이 매우 적습니다.
3. 보수가 저렴해서, 낮은 거래 비용을 가진다.
ETF는 평균 보수가 0.3~0.4%로 아주 낮은 편이기 때문에, 거래 비용도 낮습니다. 보수가 저렴한 이유는 인덱스를 쫓아가는 상품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자동화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ETF의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식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장 폐지 가능성이 있다.
위에 설명한 그대로, ETF는 주식의 성격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상장 폐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처럼 상장 폐지를 크게 걱정하실 필요가 없는것이 상장폐지가 되면, 그 시점의 가격으로 다 돌려줍니다. 또한 상장 폐지 전에 ETF의 규모가 너무 작아진다거나 하는 것을 보고 미리 대비도 가능합니다. 애초에 너무 규모가 작은 ETF 또한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ETF 종류
ETF는 다양한 상품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종류도 매우 다양합니다.
1. 시장 지수 ETF : 코스피나 코스닥 같은 시장 지수를 따라서 움직이는 ETF
Ex. KODEX 200 (삼성자산운용), KOSEF 200 (우리자산운용), TIGER 200 (미래에셋맵스자산)
2. 환율 ETF : 달러와 같은 다른 나라의 화폐를 따라서 움직이는 ETF
Ex. KOSEF 미국달러선물 (우리자산운용), KOSEF 미국달러선물인버스 (우리자산운용)
3. 섹터 ETF: 산업군 별로 해당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ETF
Ex. KODEX 자동차 (삼성자산운용), KODEX 에너지화학 (삼성자산운용), KODEX 반도체 (삼성자산운용)
4. 해외 ETF: 해외에 상장된 기업에 투자하는 ETF
Ex. KODEX China H (삼성자산운용), KODEX Japan (삼성자산운용), TIGER 나스닥 100 (미래에셋맵스자산)
5.파생형(지수연동) ETF: ETF에 레버리지 또는 인버스 이름이 붙어있는 ETF
레버리지란, 수치 변화의 두 배 만큼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레버리지를 코스피에 적용하면, 코스피가 증가/감소하는 정도의 2배 만큼 증가/감소합니다.
인버스란, 수치 변화의 정반대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인버스를 코스피에 적용하면, 코스피가 증가/감소 할 때 ETF는 동일한 수치 만큼 감소/증가합니다.
Ex. KODEX 레버리지 (삼성자산운용), KODEX 인버스 (삼성자산운용)
6. 원자재 ETF: 금, 은, 구리, 원유 등 원자재에 투자하는 ETF
Ex. KODEX 구리선물 (삼성자산운용), TIGER 금은선물 (미래에셋맵스자산), TIGER 원류 선물 (미래에셋맵스자산)
7.채권 ETF: 채권에 투자하는 ETF
Ex. KOSEF 통안채 (우리자산운용), KODEX 국고채 (삼성자산운용)
'Finance > 금융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의 모든 것 (뜻, 개설 자격, 조건, 종류, 입금 한도, 추가 팁) (0) | 2022.03.11 |
---|---|
리밸런싱, 해야 하는 이유 (feat. 뜻, 목적, 장점, 실제 예시) (0) | 2022.03.03 |
공매도 뜻, 원리 (0) | 2022.02.10 |
증권, 유동성, 컨센서스 뜻 (0) | 2022.02.08 |
댓글